티스토리 뷰
목차
한식조리기능사 자격증은 제2 인생 도전에 좋은 자격증이에요. 필기시험은 그 시작입니다. 이 글에서는 시험 개요부터 기출문제 20문제, 상세한 공부법, 자주 묻는 질문까지 알기 쉽게 설명드릴게요.
📝 한식조리사 필기시험 개요
- 시험과목: 조리이론 및 식품위생
- 문항수: 총 60문항 (객관식 4지선다형)
- 시험시간: 60분
- 합격기준: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
- 출제기관: 한국산업인력공단
- 시험방식: 컴퓨터 CBT 시험 (원하는 날짜 선택 가능)
필기시험은 이론 위주로 구성되어 있지만, 실제 조리와 밀접한 문제도 많이 출제되기 때문에 암기보다는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응용하는 능력이 중요해요.
🧠 한식조리사 필기시험 기출문제 + 정답해설
1. 조리의 3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열
② 조미료
③ 시간
④ 식품
정답: ② 조미료
조리의 3요소는 '식품, 열, 시간'입니다. 조미료는 조미의 일부이지 조리 자체의 요소는 아닙니다.
① 데치기
② 찌기
③ 졸이기
④ 포칭
정답: ④ 포칭
포칭은 70~80℃의 저온에서 익히는 방법으로, 연한 식재료에 적합합니다.
① CCP 설정
② 위해요소 분석
③ 모니터링 체계 수립
④ 개선조치 계획 수립
정답: ② 위해요소 분석
HACCP의 첫 단계는 식품의 위해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며, 이후 중요관리점(CCP)을 설정합니다.
① 혐기성균
② 호기성균
③ 내열균
④ 중온균
정답: ② 호기성균
호기성균은 산소가 있어야만 번식하는 미생물입니다. 대표적으로 곰팡이가 있습니다.
① 계란
② 고기
③ 감자
④ 버터
정답: ③ 감자
감자는 전분 함량이 높은 탄수화물 식품입니다.
① 에너지 저장
② 신체 조직 구성
③ 효소 억제
④ 체온 유지
정답: ② 신체 조직 구성
단백질은 근육, 피부, 장기 등 신체 조직을 구성하고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.
① 찌기
② 튀기기
③ 삶기
④ 절이기
정답: ② 튀기기
튀기기는 170~180℃의 고온의 기름에서 조리하여 수분을 증발시킵니다.
① 아크릴아마이드
② 솔라닌
③ 납
④ 보툴리누스균
정답: ② 솔라닌
감자의 껍질이나 싹에 존재하는 솔라닌은 독성이 있으므로 제거해야 합니다.
① 다시마
② 멸치
③ 고추장
④ 대파
정답: ③ 고추장
고추장은 양념 재료이며, 기본 육수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.
① 행주로 감싸둠
② 나무 도마 밑에 넣음
③ 칼꽂이에 수직으로 보관
④ 싱크대에 둠
정답: ③ 칼꽂이에 수직으로 보관
칼을 청결하게 유지하려면 통풍이 잘 되는 칼꽂이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.
① 흔들어서 소리 듣기
② 깨서 냄새 맡기
③ 물에 담가보기
④ 끓여보기
정답: ③ 물에 담가보기
달걀을 물에 넣었을 때 가라앉으면 신선하고, 뜨면 오래된 것입니다.
① 저온, 건조
② 고온, 습기
③ 냉동 상태
④ 햇볕 직사
정답: ② 고온, 습기
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미생물 번식이 빨라져 부패가 가속화됩니다.
① 김치
② 된장
③ 요구르트
④ 식초
정답: ④ 식초
식초는 발효 후 정제된 산성 액체이며, 발효식품 자체로 분류되진 않습니다.
① 카탈라아제
② 트립신
③ 파파인
④ 아밀라아제
정답: ③ 파파인
파파인은 파파야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해효소로 고기를 연하게 만듭니다.
① 지방
② 섬유질
③ 탄수화물
④ 칼슘
정답: ① 지방
노른자는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이 풍부합니다.
① 사카린
② 아스파탐
③ 스테비오사이드
④ 수크랄로스
정답: ③ 스테비오사이드
스테비오는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 감미료입니다.
① 양은냄비
② 도자기냄비
③ 알루미늄 냄비
④ 스테인리스 냄비
정답: ② 도자기냄비
도자기 냄비는 열을 고르게 전달해 찌개 요리에 적합합니다.
① -18℃ 이하
② 0~4℃
③ 5~10℃
④ 10~15℃
정답: ② 0~4℃
냉장실은 식중독균 번식을 막기 위해 0~4℃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.
① 수분 보존
② 산화 방지
③ 비린내 제거
④ 살균 효과
정답: ③ 비린내 제거
비린내의 원인인 트리메틸아민을 제거하기 위해 흐르는 물로 세척합니다.
① 간장
② 고추장
③ 마요네즈
④ 케첩
정답: ③ 마요네즈
마요네즈는 기름과 계란노른자가 혼합된 유화소스입니다.
📖 중장년을 위한 필기시험 공부법
1. 기출문제 반복: 최소 3회 이상 기출문제를 풀어보세요. 문제 유형이 익숙해지면 정답이 보입니다.
2. 오답노트 만들기: 틀린 문제는 왜 틀렸는지 원인까지 메모해두면 기억에 오래 남아요.
3. 소리 내어 읽기: 눈으로만 보면 금방 잊어요. 소리 내서 읽으면 집중도와 기억력이 향상돼요.
4. 하루 30분씩 꾸준히: 짧게 자주 하는 공부가 장기 기억에 유리합니다.
5. 영상강의 병행: 무료 유튜브 영상도 많습니다. 귀로 들으며 개념을 익히세요.
🙋 자주 묻는 질문 Q&A
-
Q. 필기시험은 어려운가요?
-
A. 암기 위주라 중장년층에게도 어렵지 않지만, 용어에 익숙해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.
-
Q. 필기시험 먼저 보나요, 실기 먼저 보나요?
-
A. 반드시 필기를 먼저 합격해야 실기시험 응시가 가능합니다.
-
Q. 자주 나오는 문제만 외우면 되나요?
-
A. 기출 중심으로 외우되, 개념을 이해하고 연결지어야 실수하지 않습니다.
-
Q. 하루에 얼마나 공부해야 할까요?
-
A. 하루 30분~1시간씩 꾸준히 2~3주만 투자해도 충분히 합격 가능합니다.
-
Q. 교재 없이 인터넷 강의만 봐도 될까요?
-
A. 가능은 하지만 요약된 정리본이나 기출 PDF를 함께 보는 걸 추천합니다.